전체 글268 23일차 TIL: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앱개발 창업 부트캠프 : 머지와 협업 📜 二十三日차 행록 | 생각의 도와 조화의 락을 쌓으며2025년 4월 2일 수요일, 스파르타코딩클럽X내일배움캠프의 二十三日차 기록을 올리옵나이다.하늘이 맑고 바람이 순하였으며, 마음 또한 평온하여 배움과 사람 간의 교류가 두루 흐뭇한 날이었사옵니다🌤️지금부터 소인, 이 하루를 조심스레 되짚어 올려드리겠사옵니다. 큰 결심을 하여 우리 팀의 이름을 '연결지락(連結之樂)’이라 새롭게 바꾸었사온데, 그 의미는 아래와 같사옵니다👇 📌 연결지락(連結之樂) - 팀 소개의미: 묘묘한 연결의 이치로써 찬란한 도(道)를 이루는 선비들의 모임상세 의미: ‘연결지(連結之)’는 사람과 기술의 이음을 뜻하고, ‘락(樂)’은 그 연결에서 비롯되는 찰나의 기쁨을 의미하옵니다.본래 명칭: Nexora (Nexus + Ora)사.. 2025. 4. 2. 23일차_Daily Scrum_북클럽 : 코딩은 프로그래밍이 아니예요. 오늘은 개발튜터님이 추천해주신 칼럼을 읽어봤어요출처: https://news.hada.io/topic?id=19969 코딩은 프로그래밍이 아니에요 | GeekNewsLeslie Lamport는 LaTeX의 초기 개발자이며 분산 시스템 분야의 선구자. 2013년 튜링상 수상그가 SCaLE 22x 키노트에서 추상화의 중요성을 강조하며, 대부분의 프로그래머가 코딩과 언어에 몰두하지만,news.hada.io💡 코딩은 프로그래밍이 아니다: 진짜 개발은 생각에서 시작된다“프로그래밍이 코딩과 동일하다고 생각하시나요?”세계적인 컴퓨터 과학자이자 LaTeX의 창시자,그리고 2013년 튜링상 수상자인 레슬리 램포트(Leslie Lamport)는 SCaLE 22x 키노트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중요한 메시지를 던졌습니다... 2025. 4. 2. 22일차_Daily Scrum_북클럽 : <실리콘밸리의 팀장들> 머리말(3) : 진짜 좋은 팀장은 '완벽함'보다 '솔직함'을 택한다 💬✨ 진짜 좋은 팀장은 '완벽함'보다 '솔직함'을 택한다 💬✨“직원의 역량을 의심하지 않은 방식으로 피드백을 전하는 게 중요합니다. 물론 그건 대단히 어려운 일이죠.”이 한 문장에서 머리말의 핵심이 꿰뚫립니다. 이 책은 단순히 실리콘밸리에서 어떻게 일하는지를 보여주는 게 아니라, 일터에서 우리가 매일 부딪히는 '관계의 본질'을 아주 날카롭게 들여다봅니다.🧠 데일리스크럼, 피드백의 기술부터 다시 시작하기우리가 매일 아침 모이는 데일리스크럼은 단순한 일정 공유의 시간이 아닙니다.이 짧은 15분 동안 팀장은 ‘말 한 마디’로 신뢰를 쌓을 수도, 무너뜨릴 수도 있죠.“이 부분은 왜 이렇게 했어?”이 한마디도 목소리 톤 하나로 🧐 의심이 되기도, 🤝 진심 어린 관심이 되기도 합니다.책에서는 직원의 역량을 의심.. 2025. 4. 1. 22일차 TIL: 스파르타 내일배움캠프 앱개발 창업 부트캠프 : “완벽함보다 신뢰✨ Git 협업과 팀문화로 꽉 찬 22일차” 22일차 TIL – 4월 2일 화요일 🐣👀 오늘의 날짜2024년 4월 2일 화요일벌써 22일차! 시간이 정말 빠르게 흐르고 있어요🚀📚 북클럽: 오늘 북클럽에서는 ‘완벽한 팀장보다 솔직한 팀장이 더 중요하다’는 내용을 바탕으로,신뢰와 피드백에 대한 내용이 인상깊었어요.특히, 매일 반복되는 데일리 스크럼 속에서 신뢰를 쌓고, 진심을 담은 피드백이 어떻게 관계를 바꾸는지를 되새겨보는 시간이었어요.‘완벽함’보다 ‘신뢰’가 핵심이라는 메시지가 인상 깊었답니다😊🎓 강의: Git & GitHub 협업 복습오늘은 머지 담당으로서, 지난 희재 튜터님의 Git & GitHub 특강을 정리하며 복습했어요.브랜치 생성부터 병합, PR(Pull Request) 작성과 리뷰 프로세스까지 다시 보니, 팀 프로젝트를 원활.. 2025. 4. 1.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13 ··· 67 다음